일제강점기에 실시한 발굴조사 되짚어보기
- 국립문화유산연구원, 광복 80주년 맞아 ‘일제강점기 한국 주요유적 발굴조사’ 학술대회 개최(9.11. 국립고궁박물관)
김윤국 기자 / 입력 : 2025년 09월 04일
단기4358년
국가유산청 국립문화유산연구원(원장 임종덕)은 광복 80주년을 맞아, 9월 11일 오전 10시 국립고궁박물관 본관 대강당(서울 종로구)에서 ‘일제강점기 한국 주요유적 발굴조사’라는 주제로 일제강점기 동안 이루어진 대한민국 중요유적 발굴조사의 의미를 재조명하는 학술대회를 개최한다.
이번 학술대회는 대한민국 고고학의 관점에서 일제강점기 동안 진행된 발굴조사가 우리 고고학 연구에 끼친 의미를 되짚어보는 자리이다. 나아가, 대한민국 고고학이 지향해야 할 주체적 연구와 학문적 발전 방향을 함께 논의하고자 마련되었다.
학술대회는 5개의 주제발표와 2개의 재발굴 사례발표, 종합토론으로 구성된다. 주제발표는 기조강연 ▲ ‘일제강점기 한국 유적의 발굴조사와 과제의 극복’(최병현, 숭실대학교 명예교수)을 시작으로, 일제강점기에 실시된 ▲ ‘석기시대 유적 조사’(이기성, 한국전통문화대학교)와 ▲ ‘고구려·낙랑 유적의 고고학 조사’(강현숙, 전 동국대학교), ▲ ‘백제·마한 유적 고고학 조사’(이정호, 동신대학교), ▲ ‘신라·가야유적 고고학 조사’(차순철, (재)서라벌문화유산연구원)의 현황과 그 의미를 살펴본다. 이어 일제강점기에 조사됐던 유적으로 현재 재발굴조사가 진행 중인 ‘고령 지산동 5호분’(정인태, 국립경주문화유산연구소)과 ‘부여 왕릉원’(오동선, 순천대학교)에 대한 조사 성과 발표가 이어진다.
|
 |
|
ⓒ hy인산인터넷신문 |
| 주제발표 이후에는 박순발 충남대학교 명예교수를 좌장으로, 한창균(전 연세대학교), 정인성(영남대학교), 성정용(충북대학교) 등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주제발표자들과 함께 과거 조사에 대한 평가와 학계의 대응, 향후 연구 방향 등에 대한 심도 깊은 종합토론을 진행할 예정이다. 이번 학술대회는 행사 당일 별도의 절차 없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국가유산청 국립문화유산연구원은 앞으로도 지속 가능한 국가유산의 미래전략 수립 기반 마련을 위해 학계와의 긴밀한 협력 관계를 유지할 뿐만 아니라 학술적 성과를 국민들과 함께 공유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이어나갈 계획이다. |
김윤국 기자 /  입력 : 2025년 09월 04일
- Copyrights ⓒhy인산인터넷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